마스크는 답답하다
article thumbnail
SQL JOIN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23. 03:39

JOIN JOIN은 SQL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. SQL문에서 두 개 이상의 테이블을 공통된 열을 기준으로 결합하는데 JOIN문을 사용한다.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. SELECT column_name(s) FROM table1 OO JOIN table2 ON table1.column_name = table2.column_name; OO값에는 내가 테이블을 조인할 방식 (Inner, Left, Right, Full)등이 들어간다. 조인할 방식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. (INNER) JOIN : 가장 많이 사용되는 JOIN으로서 JOIN이라 하면 INNER JOIN을 생각하면 된다. 두 테이블에서 일치하는 값이 있는 레코드를 반환한다. LEFT (OUTER) JOIN : 왼쪽 테이블의 모든 레..

SQL UPDATE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7. 03:23

UPDATE SQL문에서 테이블의 기존 값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UPDATE를 사용한다.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다. UPDATE A SET B = C WHERE D; A 값에는 테이블명, B 값은 컬럼명, C 값은 변경하려는 필드 값 마지막 WHERE 절이 들어간 D 값은 변경해야하는 값을 지정한다. 이때 WHERE 절을 생략하게 되면 테이블의 모든 값이 변경되므로 반드시 기재해야한다.

SQL NULL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7. 03:00

NULL 비어있는 값을 찾기 위해선 NULL 명령어를 사용한다. 이때 NULL 값은 0이나 공백이 될 수 없으며 완전히 비어있는 필드 값을 의미한다. IS NULL 비어있는 값을 사용하기 위해 작성한다. SELECT A FROM B WHERE A IS NULL; 여기서 A 값에 컬럼 명 B 값에 테이블 명이 들어간다고 가정했을 때, A 컬럼의 값이 NULL인 모든 필드 값을 선택할 수 있다. IS NOT NULL IS NULL과는 반대로 비어있지 않은 값을 사용하기 위해 작성한다.

SQL INSERT INTO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7. 02:52

INSERT INTO INSERT INTO는 테이블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할 때 사용된다. INSERT INTO A (B,C) VALUES (D,E);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A 값에는 삽입하고자 하는 테이블 명 B와 C 값은 각각 D, E 값을 넣고싶은 컬럼명이 들어간다. 컬럼명은 생략이 가능하나 이 때 밸류 값의 순서에 주의해야 한다. 예를 들어 '과자'라는 테이블의 '초콜릿' 컬럼에 '초코칩쿠키'라는 값을 넣고싶다면 다음과 같이 쿼리를 구성하면 된다. INSERT INTO 과자 (초콜릿) VALUES (초코칩쿠키);

SQL ORDER BY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6. 23:35

ORDER BY ORDER BY는 결과 값을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할 때 사용한다.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며,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서는 뒤에 DESC를 넣어주면 된다. SELECT A FROM B ORDER BY C; 이런식으로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B 테이블에서 A값들을 선택하고 C 값 기준으로 정렬한다. 또한 여러 조건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. SELECT A FROM B ORDER BY C, D; B 테이블에서 A 값을 선택하고 C 값 및 D 값으로 오름차순 정렬한다. SELECT A FROM B ORDER BY C, D DESC; B 테이블에서 A값을 선택하고 C 값 기준 오름차순, D 값 기준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.

SQL WHERE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6. 01:50

WHERE WHERE은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DATA만을 추출할 때 사용한다. SELECT A FROM B WHERE C; 이런식으로 쿼리문을 짜게 되면 B 테이블에서 C조건을 만족하는 A 값을 선택하게 된다. WHERE 절에서는 연산자를 추가하여 조건을 더 자세히 설정할 수 있다. 연산자 기호 설명 = 같다 > 크다 = 크거나 같다

SQL SELECT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6. 00:00

SELECT SELECT는 DB에서 Data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. SELECT A FROM B; 여기서 A는 Data를 선택하려는 Table의 Field 명이고, B는 Data가 존재하는 Table 명이다. SELECT * FROM A 이런식으로 Field 명에 *를 입력하면 A Table에 존재하는 모든 Field 값을 선택할 수 있다. SELECT DISTINCT SELECT DISTINCT는 DB에서 서로 다른 값을 선택하는데 사용된다. DB에는 수 많은 중복 데이터가 존재할 수 있으며, 중복값을 제외한 값들만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법이다. SELECT DISTINCT A FROM B; 이런식으로 쿼리를 작성하게 되면 B Table에 존재하는 중복되는 값을 제외한 A 값들을 선택할 수 있다.

SQL 기본
Database/SQL 문법 2023. 4. 5. 23:42

SQL (Structured Query Language) SQL이란 데이터베이스 엑세스 및 조작을 위한 표준 언어이다. RDBMS(관계형 데이터베이스)에서 Data는 Table이란 DB 개체에 저장되며, Table에 저장된 정보를 조작할 수 있다. 예를 들어 Hello라는 Table의 모든 정보를 조회하려면 SELECT * FROM Hello; 이런식으로 쿼리문을 날려주면 된다. 이때 쿼리문에서 대소문자는 구분되지 않으며, 문장을 마칠 때에는 끝에 ; 을 붙여줘야 한다. 기본 SQL 명령어 SELECT-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추출 UPDATE-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 업데이트 DELETE-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삭제 INSERT INTO- 새로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삽입 CREATE DATABAS..

검색 태그